전체 글 (173) 썸네일형 리스트형 금정산 이야기(3) -산성마을과 산성막걸리 금정산 이야기(3) - 산성마을과 산성막걸리 민속주 1호인 산성 막걸리와 그 유일한 생산지 산성마을(金城洞)을 알아본다. 봄이 오는 줄 알았는데 도리어 영하로 떨어지는 날씨 속에 산성마을을 방문하고, 이 고장 사진을 국청사 앞에서 몇 장 찍고 돌아오면서 막걸리 공장을 거쳐서 북문로를 따라 산성고개를 넘어왔다. 이곳은 산성막걸리, 염소불고기, 오리백숙, 동래파전, 도토리묵 등이 유명한 음식 관광지역으로 부산에서는 잘 알려진 곳이다. 산성막걸리는 그 제조방법이 우리 고유의 오랜 전통을 살리며 지금까지 이어오는 부산이 자랑하는 막걸리이며 오직 이곳에서만 생산된다. 산성마을은 부산시 금정구 금성동 일대를 말하며 금성동 이름은 금정산의 금정산성에 유래해서 금정산성 안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이 마을은 사적 제2.. 이름이 네 개인 불교전각 이름이 네 개인 불교전각 우리나라 역사는 불교와 많은 연관이 있으며 역사 탐방을 좋아하는 저는 사찰 방문을 자주 하게 되고 따라서 많은 역사 흔적들을 내포한 사찰을 좋아합니다. 불지종가 영축총림 통도사에는 금강계단이 있습니다. 금강계단과 바로 접해서 자리하고 있는 큰 법당이 있는데, 이 건물의 이름은 4방의 보는 방향에 따라서 건물 현판의 이름이 다릅니다. 통도사를 들어서면 여느 사찰처럼 일주문을 시작으로 천왕문, 불이문까지 통과하면 대웅전이 보입니다. 당연히 마주보는 큰 전각에 대웅전이라는 현판이 보입니다. 이 전각이 대웅전이라고 생각하지만 마주보며 바로 오른쪽 옆의 금강계단에서 보면 적멸보궁이란 현판으로 돼있습니다. 그리고 대웅전을 바라보고 왼쪽으로 돌아가면 이 전각의 현판은 금강계단이라고 되어 있습.. 금정산 이야기(2) - 금정산성 금정산 이야기(2) - 금정산성 금정산성은 사적 제215호인 금정산을 중심으로 설치된 길이 1만 7336m, 높이 1.5~3.2m의 동래온천장의 북서쪽 해발고도 801m의 금정산정에 있는 한국 최대의 산성이다. 현재 원형 성벽은 약 4km만 남아 있지만 복원하고 있다. 최초로 축성된 연대는 모르지만, 성의 규모나 축조양식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낙동강 하류에 침입하는 왜구에 대비하여 쌓았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지금의 금정산성은 조선 시대에 중축한 것이다. 1703년(숙종 29)에 경상감사 조태동(趙泰東)이 남쪽 끝에 있는 동래부의 방비를 위해 금정산에 축성할 것을 건의하여 둘레 9,011보, 높이 15척에 동-서-남-북 4문이 있는 산성을 쌓았다. 그 뒤 1707년 동래부사 한배하(韓配夏)가 둘레 5,.. 금정산 - 금샘 금정산 - 금샘 부산의 진산 금정산(金井山)엔 금정산의 이름과 범어사의 이름이 유래한 금샘(金井)이 있다. 금정산 주봉인 고당봉(801m) 아래 범어사 방향 능선 위에 약간의 바위 군이 있으며 그 끝은 벼랑이다. 이 바위 군의 바깥쪽 절벽의 우뚝 솟은 큰 바위 위에 금샘이라는 역사성 깊은 샘이 있다. 먼저 금정산(金井山)부터 말한다면 부산과 양산에 걸쳐 있는 산이지만 부산 쪽으로 더 많이 연해 있고 부산의 진산이며 전국 최대 최고의 금정산성이 있는 유서 깊은 산이다. 이 산은 낙동정맥이 남하하다 끝자락에서 뭉친 산으로서 북부 지역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의 경계가 되며 남쪽으로 낙동강 하구 몰운대를 끝으로 하는 낙동 정맥의 마지막 부분이며 부산에서 우뚝 솟은 전국 명산에 포함되는 아름다운 산이다. 금샘은 불.. 자장암을 다녀오며 자장암을 다녀와서 지난 일요일 집사람과 함께 양산 통도사 산 내 암자 자장암을 다녀왔다. 우리 부부는 시간이 날 때마다 산행 겸 사찰탐방을 자주 하는 편이다. 시간이 어중간해서 멀리 갈 수도 없고 평소 다니던 통도사 금강계단을 참배하고 자장암을 들렀다. 자장암엔 두 가지 유명한 게 있는데 하나는 금와보살이 있으며 두 번째는 자장암 마루에서 영축산을 바라보면 뚜렷이 보이는 와불이 있다. 보기에 따라서 아니라고 하면 그만이고, 금와보살 역시 믿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러나 믿음이란 반대하지 않는 마음이며, 부정하지 않는 마음이고 자꾸만 이유를 따져서 사안을 어렵게 하지 않는 마음이라야 한다는 생각으로 우리 부부는 이의를 제기하진 않는다. 금와보살은 불자는 물론 세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호기심 반 불심 반.. 자장암을 다녀와서 자장암을 다녀와서 지난 일요일 집사람과 함께 양산통도사 산내 암자 자장암을 다녀왔다.우리 부부는 시간이 날때마다 산행겸 사찰탐방을 자주 하는 편이다. 시간이 어중간해서 멀리 갈수도 없고 평소 다니던 통도사 금강계단을 참배하고 자장암을 들렸다.자장암엔 두가지 유명한게 있는데 하나는 금와보살이 있으며 두번째는 자장암 마루에서 영축산을 바라보면 뚜렷이 보이는 와불이 있다. 보기에 따라서 아니라고 하면 그만이고,금와보살 역시 믿지 않으면 그만이다.그러나 믿음이란 반대하지 않는 마음이며,부정하지 않는 마음이고,자꾸만 이유를 따저서 사안을 어렵게 하지 않는 마음이라야 한다는 생각으로 우리 부부는 이의를 제기 하진 않는다. 금와보살은 불자는 물론 세인들에게 널리 알려저 있으며 호기심 반 불심 반 등으로 자장의 손가락.. 치매 예방에 좋은 식품 치매 예방에 좋은 식품 치매(癡呆)도 하나의 질병 이지만 다른질병과는 또 다는 불행을 야기하는 것은 알려진 사실입니다.치매(癡呆)에 대한 많은 글들은 이미 이 병에 대한 경고나 안타까운 실상들을 잘 언급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100세 시대를 지향하는 건강한 삶을 위해서 노력하지만 대부분 체력을 위해서 노력하며 자칫 뇌 건강을 위해서는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癡呆)에 대해서 알려진 여러 문건에 보면 "포도의 레스베라톨(resveratrol)은 알츠하이머 질환의 특징 중 하나인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비정상 단백질이 뇌에 축척하는 것을 막아 플라크 생성량을 감소시켜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을 억제해 주는 작용한다" 고 전하고 있습니다. 미국 뉴소재 리트윈-주커 알츠하이머 기억장애연구소의 필립 마람바우드 .. 동래 내성을 한 바퀴 돌면서 토요일 오후 마안산 동래 내성을 한 바퀴 돌았다. 부산 동래구에 있는 동래 내성은 북쪽으로 바라 봤을 때 오른쪽 날개 끝에 충렬사가 있는 뒤편 산이 망월산이고 정상에 동장대가 있으며 북쪽편 복천동 고분군과 복천박물관이 있는 뒤편 산이 마안산, 일명 대포산이며 정상에 북장대가 있고 왼쪽 날개 끝에는 서장대가 있으며 지금 지하철 수안역 부근에 남문이 있었다. 남문만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지 못하고 도심의 중심이 되었고 다른 곳은 성루나 장대가 완전히 복원된 상태이다. 남문에 대한 역사적인 근거나 약간의 유물들은 도시철도 수안역에 전시공간을 두고 있다. 내성은 복원 개축되고 단장되어 산책로도 좋고 역사 탐방 길로도 좋다. 가끔 오가며 임진왜란이 나던 그때를 생각해 보면서 걸으면 내가 마치 벌떼처럼 기어오르는 왜..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2 다음